영남연합포커스 김진우 기자 | (재)영덕문화관광재단은 지난 1일 오후 7시, 예주문화예술회관에서 열린 '유네스코, 세계가 인정한 우리 음악과 춤' 공연이 관객의 뜨거운 호응 속에 마무리됐다고 밝혔다.
국립국악원이 주최하고 영덕문화관광재단이 주관한 이번 공연은 ‘국악을 국민 속으로’공모 사업의 일환이며 국립국악원의 한국전통예술을 전국으로 확산시켜 지역 간 문화 격차를 해소하고자 기획된 사업이다.
이날 무대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22가지 한국전통예술 중 6개 작품으로 구성됐다.
처용무(2009년 등재)를 시작으로 판소리(2003년 등재)와 강강술래(2009년 등재), 가곡(2020년 등재), 아리랑(2012년 등재), 판굿(2014년 등재) 등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우리의 전통음악과 춤이 다채롭게 이어졌다.
국립국악원의 정악단, 민속악단, 무용단 등 60여 명 단원들이 최고의 기량을 펼쳤는데, 특히 화려한 의상과 절제된 춤사위가 돋보인 처용무, 역동성 넘쳤던 강강수월래, 관객이 따라 불렀던 흥 넘치는 아리랑, 풍물에 연희가 더해진 신나는 판굿 무대가 큰 환호를 받았다.
본 공연은 당초 유료로 예정됐지만 올 봄 큰 산불 피해를 입은 영덕지역을 문화예술로 위로하고 응원의 메시지를 전하고자 전석 무료로 전환했다.
덕분에 공연 당일 예주문화예술회관은 주민 관객 외에도 외지에서 찾아온 가족 단위 관광객으로 북적였고 수준 높은 한국 전통예술의 정수를 한자리에서 맛보는 특별한 경험을 공유했다.
지역의 한 관람객은 “한 편 한 편 모두 쉽게 볼 수 없는 전통예술의 진수인데 국립국악원의 수준 높은 공연을 한자리에서, 그것도 무료로 볼 수 있어 정말 감사하다”는 소감을 전했다.
영덕문화관광재단 관계자는 “앞으로도 지역민의 정서에 맞는 다양한 전통예술공연을 계속 선보일 계획”이라며 “영덕 관내 외에서 더 많은 분들이 우리 문화를 자연스럽게 접하고 즐길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국립국악원 역시‘국악을 국민 속으로’사업 취지에 맞춰 전국 각지의 문화 소외 지역에 국악 공연을 확대해 갈 방침이다.
이를 통해 지역민이 일상에서 전통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국악이 더 이상 특정 계층의 전유물이 아닌 우리 모두의 문화가 되도록 한다는 전략이다.